본문 바로가기

강지원 생각 3 : "정도(正道)의 삶?"/반부패, 반청탁 청백의 삶

5년 정권과 철창행 인생

서울신문  [열린세상]        5년 정권과 철창행 인생

 

 

       

본분(本分)을 지킨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그래서 늘 성현들은 본분을 깨달으라고 한다.분수(分數)를 지키라고도 한다.자신의 경계를 제대로 알고 벗어나지 말라는 뜻이다.대소유정(大小有定)이란 말씀이 있다.그릇은 그릇대로 쓰임새가 있으니 거기에 맞는 분수를 지키라는 뜻도 된다.

요즘,지난 수년 동안 잘 나가던 인물들이 줄줄이 철창행이 되어 매스컴을 타고 있다.이름만 들어도 알 만한 사람,TV 화면 덕에 얼굴이 상당히 알려진 사람들도 있다.사연도 가지가지다.얼마를 먹었다느니,얼마를 바쳤다느니, 무엇을 봐주었다느니 등등이다.

불안한 심정으로 검찰청에 출두하는 모습,카메라맨을 의식해 애써 태연하려는 모습,양쪽에 집행관의 호위를 받으며 구치소를 향해 차에 오르는 모습 등등,이젠 우리 국민들도 이런 장면에는 대충 익숙해 있다.

그들은 불과 몇 달 전만 해도 보통 인물들이 아니었다.지금 전직 대통령까지 조사대상이 될지도 모른다는 말이 있으니 끝이 따로 없는 셈이다.대통령의 아들들,친인척들은 물론이다.가히 대통령가(家)의 수난이라 할 수 있다.

어디 그뿐인가.소위 실세,측근이라 불리던 그 많은 사람들도 줄을 섰다.최고 권부였던 청와대 인사들,그것도 말단 행정관이 아닌 최고위층 인사들이다.비서실장,수석비서관을 지낸 이들이니 당시 위세가 얼마나 당당했던 인물들인가.또 여당 인물들이 빠질 수 있겠는가.최고책임자였던 인물,그 아래 힘깨나 쓰던 인물들이 각 순차로 철창행이다.

요즘의 이런 모습을 보면서 우리 국민들은 고개를 갸우뚱한다.“가만있자.언젠가 분명 보았던 장면인데…”한다.마치 과거의 세계 명작영화를 주연배우만 바꿔 리바이벌한 작품을 다시 감상하는 느낌을 받는 것이다.언제였던가.맞다.딱 5년 전이었다.그리고 또 있었다.그로부터 딱 5년 전이었다.그리곤 또 그 5년 전….우리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그 좋은(?) ‘세계 명작영화’를 리바이벌해서 보고 또 보고 해온 것이다.

사실 우리나라에서는 사적(私的) 분야의 부패도 말할 수 없이 심각하다.그러나 특히 공적(公的) 분야의 부패에 더욱 분개하는 것은 다른 이유가 아니다.공적 지위에 앉은 인물들이국민의 세금으로 먹고 살면서 부패로 나라를 망치기 때문이다.국민에 대한 배임이고 나라를 팔아먹은 것과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정권마다 ‘이때다’ 싶은 생각에 앞뒤 가리지 아니하고 ‘한철 장사’에 투신한 자들이 속출해 왔던 것이다.

또 그 사람들,그 얼마나 떵떵거리고 목에 힘을 주었던가.그까짓 권한,별것도 아닌 것 가지고 마치 세상을 제 맘대로 쥐락펴락할 수 있는 듯이 얼마나 으스댔던가.

당시에 악수 한번 하던 모습을 기억하는가.고개를 뒤로 젖히고 손가락만 대충 내밀고 금세 딴 곳으로 눈길을 돌려 보내던 모습들,마치 자신은 타고난 선택된 사람들이고 상대는 어디서 별 볼일 없는 자들이 찾아온 듯이 대하던 태도들.

왜 그랬을까.고작해야 5년짜리 권세였던 것을.자신은 5년 후에도 부귀영화가 계속되리라고 생각했겠지….이런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썩은 구석은 생각하지 않는다.그저 정치적 탄압이요,희생양이요,억울하기 짝이 없는 일이라고 언성까지 높인다.

본분을 모른 탓이다.정권을 잡는다는 것이 무슨 일을 하라는 것인지,그 정권 밑에서 공직에 나선다는 것이 무엇을 하라는 것인지,그런 감투를 쓴 사람들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왜 썩어서는 안 되는지를 모르는 탓이다.

다시 5년 후를 상상해 보자.우리 국민은 제발 그 끔찍한 ‘세계 명작영화’는 다시 보지 않게 되기를 갈망한다.그러기 위해서는 누가 무엇을 어떻게 본분을 지켜야 하는지는 너무도 자명하다.5년이 긴 것 같지만 짧다.그 5년이 철창행 5년이 되지 않도록 제발 이제부터는 단단히 새기고 또 새길 일이다.

강 지 원 변호사 법률사무소 淸芷 대표

2003-06-05 1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