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지원 생각 3 : "정도(正道)의 삶?"/탕평, 공존, 협력, 화합, 통합의 삶

화합형 대통령, 왜 찾을 수 없나

서울신문  [강지원 좋은세상]   화합형 대통령, 왜 찾을 수 없나

 

 

       

당최 화합형 대통령을 찾아볼 수가 없다. 지금 거론되는 대선주자들은 하나같이 쌀쌀맞기가 그지없다. 한번 떴다 하면 차가운 냉기(氣)가 쫙 흐른다. 눈빛에는 독기(毒氣)가 흐른다. 아니면 오기(傲氣)가 흐른다. 심지어 살기(殺氣)마저 비치는 경우도 있다. 어디서 그런 것들을 배웠는지, 입을 뗐다 하면 독설이요, 겉으론 독설이 아닌 것처럼 포장한다 해도 안에는 비수를 품고 있는 듯한 발언들을 쏟아낸다.


▲ 강지원 한국 매니페스토 실천본부 대표

 

일일이 사람을 품평할 수는 없으나, 대충 그 사람이 그 사람이다. 어떤 이는 멀쩡한 얼굴에 한시도 입을 가만 두질 않는다. 그저 좌충우돌 닥치는 대로 내뱉는다. 노이즈 마케팅이다. 또 어떤 이는 투사(鬪士)를 자처한다. 제 생각이 절대이고 그것과 다른 것은 전적으로 망국의 길이라고 소리친다. 또 어떤 이는 도무지 웃음 띤 얼굴을 찾아볼 수가 없다. 간혹 나름대로 웃는다고 웃는 것 같으나, 다시 보면 마치 비웃는 듯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또 어떤 이는 가끔 웃는 모습을 보여주기는 하나, 그저 형식적인 웃음 같아 보인다. 내심에는 독한 무엇이 있는 듯한데 그것을 그대로 드러내지 않는 느낌이다.

왜 이럴까. 왜 이들은 이처럼 독선적이고 투쟁적이고 살벌한 기질들을 갖게 되었을까. 왜 하나같이 자폐형 인물들이 되었을까. 먼저 생각나는 것은 그들의 인격 형성과정이다. 사람은 유아기부터, 아니 어머니 뱃속에서부터 인격 형성이 시작된다. 너무 호의호식했다거나 못 먹고 못 자랐다는 따위의 문제가 아니다. 그런 환경들이 DNA와의 교섭과정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어떻게 극복되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소싯적의 트라우마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것을 어떻게 심리적으로 극복했는지가 관전포인트다.

다음으로는 학습효과다. 지난 수십년간의 이 나라 정치풍토가 그들에게 어떤 학습을 시켜주었을까다. 권위주의 독재자들과 이의 앞잡이 노릇을 했던 이들, 그리고 이들에 항거해서 처절하도록 싸웠던 이들 사이에서는 몇 차례의 반전을 거쳐 결국 민주화 투쟁이 성공했다. 이는 성전(聖戰)이었다. 그런데 그 성전 이후에 우리는 진실한 화해와 화합을 이루지 못했다. 그래서 교묘하게 이념으로 포장된 채 ‘권력’이라는 먹거리를 두고 싸움질을 계속했다. 실권한 정당은 10년 내내 야당으로서 여당을 괴롭히고 일을 못하게 했다. 반대로 10년 동안 잘도 나가던 정당은 다시 야당이 되어 그 특유의 버릇으로 시도 때도 없이 길거리를 누비며 소리를 질러대고 있다. 도무지 이 나라는 한개의 나라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그러니 이들 정치권 인물들이 무엇을 학습했겠나. 죄다 싸우고 깨고 악을 쓰는 것 외에 무엇을 배웠겠는가. 역대 대통령 중에서도 좋은 롤모델을 발견할 수 없었을 게다.

문제는 이제 그런 시대가 지났다는 것이다. 이만큼 먹고 살 만한 산업화도 되었고 이땅에 카다피 같은 괴물이 다시 존재하지도 않는데, 그렇다면 이제 우리는 그 다음 일을 생각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지금 이 나라에는 현재 거론되는 대선주자들보다 더 똑똑한 사람들, 얼마든지 많다. 공부 많이 한 사람도, 인격적으로 휼륭한 사람도 훨씬 많다. 그렇다면 무엇이 다른가. 이들은 이 ‘아수라장’ 같은 정치판에 뛰어들지 않은 것뿐이다. 이들은 여전히 정치판에 뛰어들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할 수 없다. 이 주자들에게 변화하라고 촉구할 수밖에.

  



그래서 권고하고자 한다. 다음 대통령이 되고자 하는 이들, 제발 웃는 얼굴로 TV에 나오라. 쌀쌀맞은 태도 좀 뜯어고치고, 넉넉하고 여유 있고 화합하는 모습을 보여라. 그리하여 부디 화합형 대통령이 되라. 그러기 위해 다음 대선공약으로 국민화합 매니페스토를 반드시 내놓으라. 대통령이 되면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지 공약으로 내놓으라는 것이다. 그래서 다음 대선은 국민화합을 가장 큰 이슈로 경쟁하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우리가 내년에 과연 화합형 대통령을 맞이할 수 있을지, 어디 눈을 씻고 함께 찾아보자.

2011-03-03 31면